티스토리 뷰

목차

    지방쓰는법


    명절이 되면 찾아보게 되는 지방쓰는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지방은 차례상의 주인을 뜻하는 것으로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다. 보통 사진으로 대처하지만 사진이 없을 경우에는 지방을 쓴다. 




    차례가 끝나면 지방을 조심히 태우는 것이 우리나라 풍습이다. 원래 한자를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이때는 '어머님 신위' , '아버님 신위' 등으로 간단하게 쓸 수 있고, 한자의 우리말 표기만 써서 '현고학생부군신위'와 같이 쓰기도 한다.  지방쓰는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지방쓰는법 



    지방은 폭은 6cm , 길이는 22cm 정도가 좋다. 한지 혹은 백지를 사용한다.제사를 모시는 이와 고인과의 관계, 직위, 이름, 신위 순으로 작성하면 된다. 지방을 바라볼때 남성 신위가 왼쪽, 여성 신위가 오른쪽에 오게 작성하고 한분만 제사를 모시는 경우에는 중앙에 작성한다. 





    고인과 제주의 관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쓴다. 남편은 顯辟(현벽)이라고 쓰며, 아내는 ‘顯(현)’을 쓰지 않고 亡室(망실) 또는 故室(고실)이라 쓴다. 형은 顯兄(현형), 형수는 顯兄嫂(현형수), 동생은 亡弟(망제), 또는 故弟(고제), 자식은 亡子(망자), 또는 故子(고자)라고 쓴다


    고조부모





    증조부모



    고인의 직위

    벼슬을 안 한 경우 남자 조상은 ‘(학생)’이라 쓰고, 그 부인은 ‘(유인)’이라 썼다. 남자 조상이 벼슬한 경우에는 벼슬이 이름이 쓴다.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서 貞敬夫人(정경부인), 貞夫人(정부인), 淑夫人(숙부인) 등의 호칭을썼다



    조부모




    부모


    고인의 이름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府君(부군)’이라고 쓴다. 여자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예를들어 ‘김해 김씨’)를 쓴다. 자식이나 동생의 경우 이름을 쓴다.



    형/ 형수


    남편/처


    반응형
    댓글